後, Hoo~

수소 먹는 하마, 상용차에 거는 기대

2023.01.31 14:34:40

[월간수소경제 이종수 기자] 새해가 되면서 수소상용차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정부가 의욕적으로 수소상용차 보급 확대 지원책을 내놓았기 때문이다. 


수소 버스·트럭 등의 상용차는 승용차보다 수소 사용량이 많아 대규모 수소 수요를 창출해 수소경제 조기 확산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승용차와 상용차의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을 보면 승용차는 1.4톤, 상용차(시내버스)는 47.3톤으로 수소상용차의 탄소중립 효과가 훨씬 크다.  


정부는 수소상용차 확산을 위해 우선 보조금 지급 규모를 확대했다. 2023년 수소차 구매보조금 예산을 보면 수소버스는 700대(시내 400대, 광역 300대)로 2022년보다 360대 증가했다. 수소트럭·수소청소차에 대한 구매보조금 지급 규모도 2022년 10대에서 2023년 220대(화물차 100대, 청소차 120대)로 확대했다.  


지자체 부담 완화를 위해 정부의 보조금도 상향 조정했다. 특히 올해 시범사업을 통해 시내버스 보급 의지가 높은 지자체 내 운송사에 연료전지시스템 보조금(400대)을 지급할 예정이다. 


현재 수소버스 연료전지시스템 보증기간은 5년 또는 50만km이다. 이를 전기차 수준(9년 또는 90만km)으로 맞추기 위해 연료전지시스템 보조금을 지원하는 것이다. 


연료전지시스템 보조금 지원에 대한 운송사들의 반응이 좋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현재 지원 중인 수소차 구매보조금, 수소연료보조금에 이어 연료전지시스템 보조금까지 도입함으로써 수소버스 운영사업자의 경제성 확보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가 연료전지시스템 보조금 지원책까지 내놓았다는 것은 그만큼 수소상용차 확산이 절박하다는 것을 방증한다. 


상용차를 위한 수소충전소만 적기에 구축된다면 수소상용차 보급 확산을 기대할 수 있다.  


보조금 정책은 한시적인 마중물 역할로 존재해야 한다. 보조금에 의존하는 기업들은 자립하기 힘들다. 수소차 보급 확산(대중화)으로 인한 차량 가격 인하, 연료전지시스템의 내구성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 수소 충전 인프라 구축이 조화롭게 뒷받침되어야 하는 이유다.   

이종수 기자 jslee@h2news.kr
Copyright @2017 월간수소경제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수소지식그룹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75-15, 910호 (가산동 가산하우스디와이즈타워)
등록번호 : 금천, 라00205 | 대표자 : 장성혁 | 발행인 : 주식회사 수소지식그룹(장성혁) | 편집인 : 장성혁 | 전화번호 : 02-6929-1270 | 팩스 : 02-6929-1271
사업자 등록번호 : 469-88-00570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 제 2018-서울금천-0117 호
Copyright ©2017 월간수소경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