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차 본고장인 한국에 BMW의 첫 수소전기차 iX5 하이드로젠이 나타났다. 한국에 상륙한 첫 외산 수소차 BMW코리아가 지난 4월에 열린 ‘2023 서울모빌리티쇼’에서 BMW 최초의 수소전기차인 ‘iX5 하이드로젠’을 선보였다. 외산 수소차가 한국에서 공식적으로 모습을 드러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BMW코리아는 서울모빌리티쇼가 끝나자마자 iX5 하이드로젠을 인천 영종도에 있는 ‘BMW 드라이빙센터’로 옮겨 기자 대상 시승행사를 진행한 후 5월 말까지 한 달가량 전시했다. 전시차 1대만 있었기 때문에 일반인 대상 시승은 없었다. 도요타와 협력 iX5 하이드로젠은 BMW의 준대형급 SUV인 X5를 기반으로 개발된 수소전기차다. 이 차량에는 BMW가 도요타와 공동 개발한 연료전지 기반 구동 시스템 등이 탑재됐다. BMW와 도요타는 2013년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연료전지 구동 시스템 개발에 착수했다. 2016년에는 제품 개발 파트너십 협약을 체결, 차세대 연료전지 구동 시스템과 연료전지 차량을 위한 확장 가능한 모듈형 부품을 개발해왔다. 오랜 기간 축적해온 기술력 BMW는 도요타와의 협력을 바탕으로 2015년 중형세단인 5시리즈 그란 투리스모에 기반
[월간수소경제 박상우 기자]국내 대표 수소·연료전지산업 전문 전시회 ‘H2WORLD’가 6월 14일부터 16일까지 3일간 수원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다. H2WORLD는 수소산업 지식서비스 제공 플랫폼 기업 수소지식그룹이 수소산업 확장을 위해서는 다양한 기술과 제품이 한자리에서 선보이고 이슈가 논의되는 장이 필요하다는 판단 아래 2018년 10월 1회 행사(창원)를 시작으로 매년 성공적으로 개최(2018~2021년, 총 4회-창원 2회·서울 1회·울산 1회)해 수소경제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2022년에는 행사 내용과 규모를 확대하는 리뉴얼을 진행했다. CI와 비전을 새롭게 마련하고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한국에너지공단, 글로벌생활수소협회, 한국천연가스수소차량협회 등이 새롭게 참여하며 조직위원회를 확대했다. 이 같은 리뉴얼을 통해 새롭게 단장한 H2WORLD 2023의 가장 큰 특징은 연료전지와 수전해 관련 기업이 대거 참여한 점이다. SK에코플랜트, 에스퓨얼셀, 범한퓨얼셀, 에이치앤파워, 케이퓨얼셀 등 연료전지 제조사와 지필로스, 라이트브릿지, 넥슨스타 등 P2G 기업 참여가 돋보인다. 또한 에프씨아이, 블루에프씨, 케이세라셀, 비나텍, 코멤텍 등 후발 제조
[월간수소경제 박상우 기자]정부는 규제개혁과 산업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지난 2019년 1월부터 ‘규제샌드박스’라는 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규제샌드박스는 아이들이 모래놀이터에서 안전하게 뛰어노는 것처럼 사업자가 신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일정 조건(기간·장소·규모 제한)에서 시장에 우선 출시해 시험·검증할 수 있도록 현행 규제의 전부나 일부를 적용하지 않는 것으로, 시험·검증하는 과정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토대로 합리적으로 규제를 개선하는 제도이다. 2016년 영국이 처음 도입했으며 현재 한국을 포함해 60여 개국에서 운영 중이다. 규제샌드박스는 제도의 기획과 총괄운영을 담당하는 국무조정실을 중심으로 분야별 주관부처가 협업하는 체계로 운영되고 있다. 주관부처는 소관 법률에 따라 분야별 전문성을 토대로 제도를 운용하고 부처 간 이견이 있는 쟁점 과제의 경우에는 국무조정실 주관의 ‘규제샌드박스 관계부처 TF’를 통해 점검·조정하고 있다. 각 부처는 규제샌드박스 관련 사항의 심의·의결을 위해 장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민관 합동의 ‘특례 심의위원회’를 구성·운영하고, 규제자유특구 분야는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상위 위원회인 ‘규제자유특구위원회’를 추가로
[월간수소경제 박상우 기자]윤석열 대통령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초청으로 지난 4월 24일부터 30일까지 5박 7일 일정으로 미국을 국빈 방문했다. 윤 대통령은 이번 미국 국빈 방문에서 70주년을 맞이한 한미동맹과 경제협력을 강화하는 데 주력했다. 특히 경제협력의 경우 반도체, 배터리, 에너지, 바이오 등 첨단산업 분야에 중점을 뒀다. 이를 방증하듯 이번 미국 국빈 방문에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최대 규모인 122명 경제사절단이 동행했는데 대부분 첨단산업 분야 업체들이었다. 또한 윤 대통령은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투자신고식, 한미 첨단산업포럼, 글로벌영상콘텐츠 리더십 포럼, 한·미 클러스터 라운드테이블 등에 참석하며 양국의 첨단산업 협력 강화를 이끌었다. 이를 통해 여러 미국 기업이 한국에 대한 투자를 결정하고 양국 기업 간의 사업협력 MOU가 여러 건 체결됐다. 특히 청정수소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해 협력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포함돼 있어 주목된다. 2건의 투자신고와 13건의 MOU 윤 대통령의 방미일정이 시작된 4월 24일(현지시간) 산업부는 미국 워싱턴D.C 상공회의소에서 투자신고식을 개최했다. 투자신고식은 6개의 미국 기업이 참석해 총 19억
[월간수소경제 박상우 기자] 한국과 덴마크가 해상풍력, 수소 등 청정에너지 분야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주한덴마크대사관과 한국풍력산업협회는 25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2023 기후산업국제박람회에서 ‘한-덴 그린 비즈니스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한국 정부의 2030년까지 해상풍력 14.3GW 및 청정수소 30조 원 규모 확대 목표 달성을 위해 한-덴 협력을 다지고자 기획됐다. 이를 위해 덴마크에서는 정부의 에너지 정책을 수립 및 시행하는 덴마크 에너지청(Danish Energy Agency), 국영 계통 운영기관인 에네르기넷(Energinet) 그리고 수출신용기관인 EIFO가 참가했다. 덴마크 산업계에서는 백 브룬(Bech-Bruun), CIP/COP, 코비(COWI), DNV, 라우텍(LAUTEC), 머스크 서플라이 서비스(Maersk Supply Service), 오스테드(Orsted), 플레스너(Plesner), 베스타스(Vestas) 등 에너지 관련 기업이 대거 참가했다. 한국에서는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산업통상자원부, 김앤장, 신라정밀, SK에코플랜트, LS전선, 제주대학교 등이 동참했다. 이번 한-덴 그린 비즈니스 포럼
[월간수소경제 박상우 기자] 독일의 음이온교환막(AEM) 수전해 제조회사인 인앱터(Enapter)가 세계 최초의 메가와트급 AEM 수전해 시스템인 ‘AEM 멀티코어(Multicore)’를 공개했다. AEM 멀티코어는 420개의 AEM 스택 모듈을 병렬로 연결해 40피트 수전해 컨테이너로 구성됐다. 수백 개의 스택으로 하나의 시스템을 만들었기 때문에 비용효율성이 높아 그린수소 생산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일일 그린수소 생산량은 450kg이며 순도는 99.999%다. AEM 멀티코어는 인앱터가 지난해 3월에 출시한 표준형 AEM 전해조인 ‘AEM Electrolyser EL 4.0’을 기반으로 제작될 것으로 보인다. EL 4.0은 2017년부터 개발해온 4세대 AEM(음이온교환막) 전해조로, 알칼라인 전해조에 들어가는 저가 재료(티타늄 대신 강철)의 이점, PEM(고분자전해질막) 전해조의 유연성과 작은 크기의 장점을 취했다. 이를 통해 이전보다 더 작고 가벼우며 ISO 22734 인증을 받았다. 인앱터는 올해 안에 최초의 상업용 AEM 멀티코어 시스템을 구축하고 기술 성숙도를 2024년에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중기적으로는 독일의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월간수소경제 박상우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25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기후산업국제박람회 특별행사로 '원자력 청정수소 국제 비즈니스 포럼'을 열어 원전으로 청정수소 활용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한국수력원자력, 수소융합얼라이언스가 함께 참여한 이번 포럼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원자력 수소의 역할과 과제'를 주제로 열렸다. 포럼에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하 원자력에너지기구, 프랑스 원자력 및 대체에너지위원회 등 국내외 산·학·연 전문가 150여명이 참석했다. 산업부는 향후 탄소 배출량을 기준으로 하는 '청정수소 인증제'를 도입하면서 원전수소가 청정수소에 포함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재생에너지가 부족한 우리나라 여건상 원전을 연계한 청정수소를 생산하는 것이 에너지 산업에서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산업부는 지난해 4월부터 내년 3월까지 한수원이 진행한 ‘원자력 청정수소 생산 기반 연구’를 토대로 원전수소 생산 실증과 상용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원전수소는 경제성뿐만 아니라 에너지 안보 강화에 기여하고, 원전 수출과 연계해 수소 생산 플랜트의 수출산업화 등도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같은 맥락에서 최근
[월간수소경제 박상우 기자] 두산에너빌리티가 국내 산학연과 순수 우리 기술로 개발하고 있는 수소터빈을 ‘기후산업국제박람회(WCE 2023)’에서 국내 최초로 공개한다. 두산은 25일부터 사흘간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기후산업국제박람회(World Climate Industry EXPO: WCE 2023)’에 두산에너빌리티, 두산퓨얼셀, ㈜두산 퓨얼셀파워 BU 등이 참가했다고 밝혔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이번 전시회에서 국내 산학연과 함께 순수 우리 기술로 개발하고 있는 수소터빈의 6분의 1 크기 모형을 국내에 최초로 공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한국형 원전인 APR1400의 원자로와 증기발생기 등 원전 주기기 모형을 전시하고, SMR 파운드리로서 SMR 제작을 위한 첨단기술도 알린다. 또한 국내 서남해 환경에 최적화된 8MW급 해상풍력발전기를 포함한 풍력발전 라인업과 국내 최대 해상풍력발전 기자재 공급 실적 등을 소개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풍력발전과 연계한 그린수소 생산 플랜트 △국내 최초의 수소액화플랜트 △한국수력원자력과 함께 수행중인 원자력 수소 생산 기반 연구 등 청정수소 관련 핵심기술 현황을 소개한다. 두산퓨얼셀은 올 하반기 사업화를 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