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수소경제 이종수 기자]국내 유일의 산업용가열로 및 수소추출기 전문기업인 제이엔케이히터(대표 김방희)는 중국 국영기업인 셰너지그룹 및 지벡상하이와 함께 중국 및 내몽골에 수소추출기를 제작´공급하는 사업에 관한 3자 계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계약에 따르면 제이엔케이히터는 자사가 보유하고 있는 수소추출기 제작기술을 전수하고 셰너지그룹과 함께 온사이트(On-site) 수소충전소 실증사업 및 공동 마케팅을 진행하기로 했다. 또 향후 중국 시장 내 수소추출기 제품 가격 경쟁력 제고 및 특허기술의 외부 유출 차단을 위해 합작법인을 설립한다는 계획이다. 제이엔케이히터는 합작법인 설립과 동시에 자사가 보유 중인 하루 1~2톤급의 수소추출기 모델을 중국 현지에서 직접 생산해 시장에 본격적으로 보급할 계획이다. 이로써 현재 중국 내에 계획되고 있는 온사이트 수소충전소 시장을 선점한다는 전략이다. 셰너지그룹(Shenergy Group Company Limited)은 중국 상하이 정부 소유의 국영기업이자 상하이증권거래소에 상장된 Shenergy Company Limited의 모회사로, 상하이 및 중국 동부지역의 전력, 석유 및 천연가스 등의 에너지 사업을 영위
[월간수소경제 이종수 기자]SK E&S가 한국남동발전(KOEN)과 손잡고 국내외 재생에너지 자원을 기반으로 한 그린 수소·암모니아 사업 협력에 나선다. SK E&S는 18일 SK 플러그 하이버스(SK Plug Hyverse), 한국남동발전과 ‘탄소중립과 국내외 그린 수소·암모니아 생산 및 도입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SK 플러그 하이버스는 SK E&S와 美 수소기업 플러그파워(Plug Power, 이하 ‘플러그’)가 아시아 지역 공동사업 추진을 위해 올해 1월 설립한 합작법인(JV)이다. 이번 MOU는 국내외에서 생산된 그린 수소와 암모니아를 혼소 발전에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3개사가 협력하기 위한 것이다. 남동발전은 생산된 수소·암모니아의 도입 및 혼소 활용, SK E&S는 SK 플러그 하이버스를 통해 그린 수소 생산을 위한 전해조(수전해 설비) 공급을 각각 담당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남동발전은 생산된 그린 수소 및 암모니아를 국내에서 운영 중인 석탄 및 가스 발전설비의 혼소 연료로 구매해 사용할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기존 발전설비를 적은 비용으로 개조해 수소와 암모니아를 기존 연료인 석탄 및 천연
[월간수소경제 이종수 기자]에스퓨얼셀이 올해에도 전국을 대상으로 연료전지 사후관리(AS)에 나선다. 에스퓨얼셀(대표 김민석)은 한국에너지공단으로부터 ‘2022년도 연료전지 AS 사업자’로 선정됐다고 18일 밝혔다. 에스퓨얼셀은 2020년부터 AS 사업을 진행한 데 이어 올해까지 전국에서 AS 사업을 추진하게 됐다. 3년 연속 이 업무를 맡은 사업자는 에스퓨얼셀이 유일하다. 이번 선정은 공모를 통해 진행됐다. 23개 항목의 평가표에 따른 합산 최고 점수로 최종 선정된 에스퓨얼셀은 신재생 AS 전담업체 인센티브 운용 기준에 따라 비용 일부를 지원받으며, 정부가 추진하는 신재생에너지 지원 사업에 참여하면 선정 우대를 받는다. 에스퓨얼셀은 최근 울산광역시 도시개발공사, 롯데건설과 함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CO2 포집 연계형 저탄소 건물용개질기 기술 개발 및 실증’에 대한 업무협약 및 한국가스기술공사와 ‘직접수소용 연료전지 기술 개발 상호 협력’에 대한 업무협약(MOU)을 맺는 등 미래형 연료전지 R&D에도 상당한 입지를 굳히고 있다. 특히 국내 독자적 기술로 블루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에스퓨얼셀의 기술력은 해외 수입에 의존하지 않는 한국의 ‘탄소중립 시
[월간수소경제 성재경 기자] 기후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영국의 선구적인 HyDeploy 2차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완료됐다고 Northern Gas Networks(이하 ‘노던가스’)가 16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영국의 윈라톤(Winlaton), 게이츠헤드(Gateshead)에 있는 668개의 주택, 교회, 학교에 11개월간 최대 20%의 수소를 혼합한 도시가스를 공급하는 시범사업이다. 마을 주민들은 기존의 가스기기를 바꾸지 않고 연료를 그대로 사용했다. 현재 영국의 가스기기는 최대 23%의 수소 혼합에도 작동이 되도록 설계가 되어 있다. 이에 가스보일러나 가스레인지, 가스배관을 교체하지 않고 사업을 진행했다. 영국은 현재 0.1%라는 예외적으로 낮은 수소 혼합 기준을 가지고 있다. 네덜란드 가스망의 일부 지역에서는 최대 12% 수소 혼입이 허용되며, 가정용 연소기기는 최대 23%의 수소가 혼합된 연료에 작동되도록 설계되어있다. 영국은 도시가스가 유통되기 전, 1960년대에 석탄으로 만든 부피당 최대 60%의 수소가 섞인 ‘타운 가스’를 영국 전역에서 널리 사용하기도 했다. 실제로 이번 시범사업에 참여한 윈라톤의 주민들은 “연료 사용 면에서이전과
[월간수소경제 박상우 기자]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에 본사를 둔 셈프라에너지(Sempra Energy)의 자회사인 SoCalGas(Southern California Gas)가 포드자동차의 대형 픽업트럭인 F-550를 기반으로 하는 수소전기픽업트럭을 개발한다. SoCalGas는 15일(현지시간) 포드자동차와 협력해 F-550 수소전기픽업트럭을 개발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이번 협력은 중‧대형 트럭의 탄소배출량을 크게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 미국 에너지부(DOE)의 슈퍼트럭3 프로그램의 일환이다. SoCalGas는 포드가 제공하는 F-550 슈퍼듀티 트럭에 연료전지 시스템을 적용했을 때 장거리 운행, 빠른 연료 공급, 탑재된 장치에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 24시간 365일 비상 대응 등 유틸리티 작업의 엄격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고 기후와 지리적 특성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테스트한다. 이를 통해 오는 2025년 수소전기픽업트럭을 선보일 계획이다. SoCalGas는 이 수소전기픽업트럭을 앞세워 2025년까지 보유 차량의 50%를 친환경차로 전환하고 2035년부터 100% 친환경차 운영한다는 목표를 달성한다는 방침이다. 그 일환으로 현재 50대
[월간수소경제 박상우 기자] 현대자동차가 올해 4분기에 출시 예정인 고상수소전기버스가 부산, 울산, 경남을 달린다. 경상남도는 지난 11일 환경부,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현대차, 경남버스운송사업조합과 김해 비즈컨벤션센터에서 ‘고상수소전기버스 시범사업 착수보고회’를 가진 후 시범 운행에 돌입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시범 운행은 지난 1월 환경부, 부·울·경, 현대차, 경남버스운송사업조합이 체결한 부·울·경 수소버스 보급 확대와 지원 협약에 대한 후속 조치의 하나로, 현대차는 고상수소전기버스를 정식 출시하기 전 편의성(소음과 진동, 승차감 등), 경제성(운행 및 유지비), 차량 성능(주요부품 성능 및 품질 등) 등을 확인할 계획이다. 고상수소전기버스는 주로 시내버스로 사용되는 저상버스보다 실내 바닥이 높아 계단을 올라 탑승하는 버스다. 이 버스는 1회 완충 시 최대 660km까지 주행할 수 있어 향후 시외버스, 통근버스, 셔틀버스 등 장거리형 버스로 활용될 예정이다. 현대차는 지난 12일 진주-창원-부산-울산을 오가는 시외버스 구간(335km)에 고상수소전기버스 1대를 투입하며 본격적인 시범 운행에 나섰다. 이 버스는 해당 구간을 오는 19일까지
[월간수소경제 성재경 기자] KAIST(총장 이광형)는 기계공학과 배중면 교수, 이강택 교수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찬우 박사 공동 연구팀이 상용 디젤로부터 수소생산이 가능한 고활성, 고내구성 디젤 개질 촉매 개발에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액체 연료인 디젤은 수소 저장 밀도가 높고 운반과 저장이 쉽다는 장점이 있어 디젤 개질을 통한 수소공급 장치를 대형트럭의 보조전원장치, 잠수함의 공기불요추진체계 등 모바일 연료전지 시스템에 적용하려는 연구가 지속돼왔다. 그러나 디젤은 고 탄화수소의 혼합물로 긴 사슬 구조의 파라핀, 이중결합을 갖는 올레핀, 벤젠 고리 구조를 갖는 방향족 탄화수소를 포함하고 있어 높은 활성도의 촉매가 요구된다. 또 촉매의 성능 저하 요인인 코킹,열 소결에 대해 강한 내구성을 갖는 촉매가 필요해디젤 개질 기술 활용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연구팀은 산화물 지지체에 이온 형태로 고용시킨 활금속을 열처리를 통해 금속나노입자 형태로 지지체 상에 고르게 성장시키는 용출현상으로합금 나노입자를 형성,고활성과고내구성을 갖춘 디젤 개질 촉매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용출된 금속 나노입자는 지지체와 강한 상호작용을 갖는 특성이 있어 고온에서 높은 분산
[월간수소경제 성재경 기자]독일의 시험인증 기관 TÜV SÜD(티유브이 슈드)가 연료전지시스템과 수소시스템 부품에 대한 두 가지 새로운 인증마크를 제공한다고 16일(현지시간) 밝혔다. 인증마크는 고정식 장비는 물론, 공장에서 제조된 연료전지시스템 및 수소 운반 부품에 적용할 수 있다. 본 인증마크를 통해 제조업체는 시스템과 부품의 안전성과 성능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다. 연료전지는 전기화학 반응을 기반으로 전기를 생산하고 밸브, 연료 공급 노즐, 분리형 커플링, 호스와 같은 수소 운반 부품은 수소충전소나 수소 차량에 사용된다. TÜV SÜD는 연료전지‧수소 시스템 인증을 통해 제품 또는 시스템이 국가 및 국제 기술안전 표준을 준수하는지 여부와 필요 시 생산 공장을 검사하고 정기적인 사후 심사를 수행한다. TÜV SÜD는 독일 뮌헨의 가칭(Garching)에 관련 부품과 시스템의 설계 검증에서 형식 승인, 인증에 이르는 수소 적합성, 호환성,성능 검사 등을 수행하는첨단 수소시험소를 갖추고 있다. 인증은 연료전지모듈(IEC 62282-2, IEC 62282-4), 연료전지시스템(IEC 62282-3), 수소 밸브와 디스펜서 호스(ISO 19880-
[월간수소경제 성재경 기자] 수소연료전지 전문기업 가온셀이 지난 7월 28일 디엠파워, PDIGID와 수소모빌리티 협동화단지 조성사업 공동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3사는 경남 사천시 사남면 초전리에 약 8만2천m2(약 2만5천 평) 부지와 전북 완주군 봉동읍 테크노밸리의 약 13만5천m2(약 4만 평) 부지에 각각 해양 수소모빌리티 협동화단지, 직접메탄올‧수소 연료전지 협동화단지를 조성하게 된다. 두 곳의 협동화단지는 가온셀이 진행 중인 사우디아라비아의 사우디-한국산업단지(SKIV: Saudi-Korean Industrial Village) 프로젝트에 공급할 수소모빌리티 핵심부품 생산기지로 활용될 예정이다. 가온셀이 수소연료전지 기술개발과 생산을 전담하고, 생산에 소요되는 자금과 부품 공급망 확보 등을 PDIGID와 디엠파워가 담당하게 된다. 가온셀은 두 곳의 수소 특화 협동화단지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직접메탄올연료전지(DMFC) 파워팩과 울산 수소 그린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에서 실증을 진행 중인 실내 물류운반기기용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MFC) 파워팩을 생산하게 된다. 가온셀의 주용수 상무는 “이번 협약
[월간수소경제 성재경 기자] 수소연료전지·수전해 분야 핵심부품 제조 스타트업 에프씨엠티(이하 ‘FCMT’)가 지난 11일 에스퓨얼셀과 35억 원 규모의 건물용 연료전지 MEA(막전극접합체) 공급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에스퓨얼셀은 국내 건물용 연료전지시스템 시장에서 시장점유율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PEMFC(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 분야 1위 업체다. FCMT 관계자는 “에스퓨얼셀이 국내외 MEA 메이커들을 까다롭게 검증하기로 정평이 나 있는 만큼, FCMT의 이번 수주가 시장에서 기술력과 가격경쟁력을 인정받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최근 수소법 개정, 제로에너지건축 의무화 추진 등 건물용 연료전지 시장이 본격적으로 확대되는 분위기 속에서, 국내 1위 고객사에 MEA를 양산 공급하게 되어 기쁘다. 에스퓨얼셀이 국내시장 뿐만 아니라 유럽, 일본 등 해외시장에서도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MEA 공급사로서 최선을 다할 생각이다.” 한편, FCMT는 2020년 3월에 설립된 수소연료전지 부품 개발사로 지난해 5월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아기유니콘’에 선정된 바 있다. 수소연료전지의 핵심 부품이자 모듈인 MEA와 스택 제조 기술을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