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수소경제 송해영 기자] 국가기술표준원과 ‘수소경제 표준포럼’이 지난달 3일 ‘수소경제 표준화 전략 로드맵’을 발표했다. 국제표준은 한 번 제정되면 모든 국가들이 해당 표준을 자국의 표준 및 인증으로 부합화해야 하므로 그 파급력이 매우 크다. 이에 표준화 로드맵은 ‘국제표준 선점을 통한 수소산업 글로벌 시장 선도’라는 비전과 더불어 이를 실현하기 위한 ‘3대 전략 9개 추진과제’ 등을 제시했다.

표준화 로드맵의 수립 과정을 되짚어 가다 보면 그 근간에는 지난 1월 발표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이 자리하고 있다. 국가 수소경제 로드맵은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발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하지만 로드맵 발표가 곧 ‘수소경제 실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수소산업계 현장에서는 “부문별 로드맵과 추진전략이 제시되어야 로드맵으로서의 제 역할과 기능을 할 것”이라는 조언이 심심치 않게 나오고 있다. 말하자면 국가 수소경제 로드맵은 수소경제 실현을 위한 장기적인 목표와 분야별 대략적 방향성이 제시된, 세계 지도나 대한민국 전도와 같은 소축척 지도다.

목적지를 찾아가기 위해서는 소축척 지도만으로는 부족하다. 현재 위치를 가늠할 수 있는 이정표와 가장 빠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목적지를 찾아가기 위한 교통 수단 등이 기재된 대축척 지도 또한 필요하다.

이에 따라 여러 정부 부처 및 공공기관에서 부문별 로드맵 작성에 착수했다. 이 중 첫 단추를 꿴 것이 바로 표준화 로드맵이다.

이외에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등 관련 부처 공동으로 수소경제 이행을 위한 상세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 중이다. 해양수산부는 기술 로드맵과 별개로 ‘해양수산 분야’에 초점을 맞춘 수소 기술 로드맵을 자체 수립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가 수소경제 로드맵 발표로 달아오른 분위기가 차츰 제자리를 찾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낙담할 필요는 없다. 국가 수소경제 로드맵은 ‘목적’이 아니라 하나의 ‘계기’다. 각자가 자신의 자리에서 노력할 때, 수소산업계의 봄날은 소리없이 성큼 찾아올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