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수소경제 이종수 기자] 올해 국내에 세계 최초로 수소발전 입찰시장이 열린다. 수소발전 입찰시장은 사업화 단계에서 연료전지 등 수소발전 산업에 예측할 수 있는 안정적인 시장을 제공해준다는 측면에서 큰 의미가 있다. 

그간 산업부는 수소발전 입찰시장 설명회를 개최하고, 3개년(2023~2025년)의 입찰시장 개설물량과 연도별 구매자의 구매량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수소발전 입찰시장 연도별 구매량 산정 등에 관한 고시’ 제정안을 확정했다.

이 과정에서 일반수소 발전시장 입찰물량에 대해 정부와 업계 간 의견 차이를 보이며 논란이 일었지만 정부가 제시한 물량대로 최종 결정됐다. 이에 따라 수소발전 입찰시장 관리기관인 전력거래소는 6월 중으로 일반수소 발전시장을 개설한다. 이후 낙찰자 선정(9월), 계약 및 전력거래 등록(10월) 절차가 예정되어 있다.

그러나 입찰시장 진입을 준비하는 기업들이 사전 준비 기간이 부족하다고 호소하고 있다. 또 올해 개설물량을 모두 소화할 수 있도록 상반기(6월) 입찰에 물량을 최대한 많이 배정해주길 바라는 의견들도 많다. 

우선 정부가 이 부분을 고려해 입찰을 진행해주길 바란다. 수소발전 입찰시장을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는 전문가의 의견도 있다.

세계 최초로 수소발전 입찰시장을 개설하는 만큼 처음부터 완벽하게 시행하기는 힘들 것이다. 앞으로 업계와 충분한 논의를 거쳐 시장 상황에 맞게 보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아쉬운 점은 청정수소인증제와 청정수소발전제도(CHPS) 도입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수소법 개정안이 늦게 처리된 점이다. 기업들은 수소법 개정안의 조속 처리를 요구했지만 지난 2022년 5월 29일 1년여 만에 통과됐다. 

그 사이 주요국은 청정수소 도입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그만큼 밀리게 됐고, 기업들은 불투명한 정부 정책에 사업준비를 제대로 할 수 없게 된 것이다. 

국내기업은 청정수소 대부분을 해외에서 생산해 수입해야 한다. 앞으로 글로벌 수소시장이 급변할 것이고, 주도권을 잡기 위한 국가 간 경쟁도 치열해질 것이다. 정부 정책의 타이밍이 중요한 이유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