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수소경제 이종수 기자] 정부는 지난 2019년 6월 발표한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2019~ 2040년)’을 통해 분산에너지 확대 목표(2040년 발전량 30%)를 제시했다. 이후 지난 2021년 6월 ‘분산에너지 활성화 추진전략’을 마련했다.

분산에너지는 소규모 발전소 중심의 분산형 발전으로 지역 내에서 에너지를 생산·소비하는 것을 말한다. 분산에너지가 활성화되면 대규모 송전·발전소가 필요하지 않고, 발전원의 분산화에 따라 중앙계통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독립적인 에너지의 생산·소비가 가능해 전력 공급의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다.

분산에너지의 한 요소인 ‘섹터커플링(Sector-Coupling)’은 재생에너지 잉여전력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기술로, 발전 부문의 잉여전력을 열(P2H), 가스(P2G), 운송(V2G) 부문의 에너지와 결합해 필요할 경우 상호 전환·활용할 수 있다.

기자는 이러한 분산에너지 모델을 실증 중인 화성시 복합에너지 허브 현장을 다녀왔다. 한국가스공사가 주관하는 이 사업은 천연가스 공급관리소를 기반으로 지역 거점형 전기·천연가스·열·수소 복합에너지 공급 허브를 구축하고, 마이크로그리드와 연계하는 기술을 실증하는 사업이다.  

특히 국내 최초로 천연가스 공급관리소의 감압을 이용한 발전과 수소생산형 연료전지가 설치되어 눈길을 끌었다.    

국내는 화력발전, 원전 등 대규모 발전소의 중앙집중식 발전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대규모 발전소와 송전선로 건설 관련 사회적 갈등은 여전히 진행형이다. 대규모 발전소 건설 부지를 찾기도 쉽지 않다.  

변동성이 높은 재생에너지 증가로 전력계통의 불안정성이 높아지고, 안정적인 전력 수급에도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이미 제주와 전남지역에서는 재생에너지 잉여전력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번 화성 복합에너지 허브 실증사업은 기존 전력·열·가스·수소의 개별적 중앙집중 방식에서 통합·분산 공급방식의 분산에너지 체계로 전환하는 좋은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회에서 계류 중인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제정안도 시급히 통과되길 바란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