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2.30 (금)
2022년 11월 30일 기준 수소 통계입니다(수소충전소 구축 현황은 12월 14일 기준). <월간수소경제>에서 제공하는 통계로 매달 업데이트됩니다.
Copyright @2017 월간수소경제 Corp. All rights reserved.
30 December 2022 | By 이종수 기자
30 December 2022 | By 성재경 기자
30 December 2022 | By 박상우 기자
30 November 2022 | By 이종수 기자
30 November 2022 | By 성재경 기자
[월간수소경제 박상우 기자]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는 30일 22기 학회장에 송락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박사가 취임했다고 밝혔다. 송락현 신임 학회장은 앞으로 2023년 한 해 동안 학회를 이끌어 간다. 송락현 신임회장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후 1990년부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수소 연료전지 연구개발을 수행해온 최고 전문가이다. 30년 이상 국내외 수소 및 연료전지 분야의 학문적 기반을 다지고 내실을 기하기 위해 힘써 왔으며, 학회 발전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 앞으로 1년간 본 학회를 이끌며 수소 및 신에너지 분야의 괄목할 만한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송락현 신임회장은 신년사를 통해 "국가 및 세계 수소경제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수소 과학기술 혁신 및 정책의 브레인 기능, 젊은 과학기술자 육성 및 폭넓은 학술 교류의 장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다음은 송락현 회장의 신년사 전문이다. 수소 경제 활성화 및 수소 과학기술 혁신에 앞장서는 학회 존경하는 회원 여러분들께 2023년 계묘년 새해에도 건강하시고 행복한 가정을 이루시길 기원합니다. 본 학회는 지난
[월간수소경제 박상우 기자]환경부는 29일부터 내년 2월 7일까지 41일간 한국자동차환경협회를 통해 2023년 수소충전소 민간 국고보조사업을 공개 모집한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2023년에 수소충전소 설치 보조사업으로 총 86개 사업(신규 50개 : 일반 18개, 상용차용 32개)에 1,896억 원을 집행할 계획이다. 이번 공모 사업은 신규사업 중 지자체 사업 12개를 제외한 민간 보조사업 38개 사업으로 '한 해(단년도)' 사업 8개와 2개년도 사업 30개로 구성됐다. 환경부는 올해 이어 내년에도 공모 절차를 통해 수소충전 인프라 확충과 수소버스 등 대형 수소차량의 전환을 촉진할 계획이다. 그 일환으로 다양한 방식의 수소충전소를 지원하기 위해 상용차용 액체수소충전소 10곳을 선정한다. 환경부는 이번 공모에서 제안받은 부지가 최대한 활용될 수 있도록 같은 부지여도 충전소 유형(일반, 특수, 액화 등)을 달리해 복수 신청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할 예정이다. 아울러 신청부지 현장 확인 및 '수소충전소 전략적 배치계획(2021~2025)'과의 정합성과 구축사업자별 그간 사업 진행 정도 등을 평가하는 등 내실 있는 사업 선정·평가로 공모를 진행할 계획이다.
[월간수소경제 박상우 기자] SK에너지가 국내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업들과 손잡고 연료전지를 중심으로 한 도심형 분산전원 및 전기차 충전기 보급 확산에 나선다. SK에너지는 한국남부발전, LS일렉트릭, 대한그린파워, 삼천리자산운용과 함께 전력 생산과 소비가 한 곳에서 이뤄지는 ‘도심형 연료전지 융복합 사업’의 공동개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도심형 연료전지 융복합 사업이란 주유소, 국·공유지 등 도심지 유휴 부지를 활용해 연료전지와 전기차 충전기를 설치하고, 연료전지에서 생산된 전력을 전기차 충전기와 인근 배전망에 공급하는 사업이다. 인근에 열 수요처가 있는 경우 연료전지에서 생산된 열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로, 전력 생산 과정에서 순수한 물 만을 배출한다는 점에서 저탄소 발전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협력을 통해 SK에너지와 한국남부발전, LS일렉트릭, 대한그린파워는 각 사가 보유한 신재생에너지 사업 관련 자산과 역량을 활용해 도심형 연료전지 융복합 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삼천리자산운용은 대규모 투자에 필요한 자금 조달을 맡아 사업의 조기 확대
[월간수소경제 박상우 기자] 미국의 한 스타트업이 이동형액체수소 공급 시스템을 출시했다. GenH2는 27일(현지시간) 어디로든 이동할 수 있는 트레일러 형태로 제작된 이동형 액체수소 공급 시스템인 ‘LS20’을 출시했다. GenH2는 지난 2020년에 설립된 액체수소 인프라 솔루션 개발업체로 본사는 미국 플로리다주 타이터스빌에 있다. LS20은 트레일러에 설치된 수전해 시스템으로 수소를 자체 생산해 공급하는 다른 이동형 수소공급시스템과 달리 수소를 자체 생산하지 않고 해당 장소로 이동한 후 그곳에서 공급하는 수소가스를 액화시켜 액체수소를 공급하는 시스템이다. LS20은 하루 최대 20kg의 액체수소를 생산한다. GenH2는 향후 하루 최대 100kg를 생산하는 모델과 하루 1,000kg를 생산하는 대용량 모델을 선보일 예정이다. 기본모델에는 400리터 용량의 초경량 저장탱크가 탑재된다. 저장탱크는 생산된 액체수소를 저장하는 공간과 액체수소를 다른 곳으로 운송할 때 사용하는 공간으로 나눌 수 있도록 제작됐다. 또 자동차, 드론, UAV, 트럭 등 수소모빌리티용 초경량 액화수소 탱크를 충전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돼 충전 또는 교환이 가능하다. 여기에
[월간수소경제 이종수 기자] 호주의 최대 에너지 기업인 우드사이드 에너지는 에어리퀴드 엔지니어링·건설(이하 에어리퀴드)과 미국 오클라호마주 아드모어(Ardmore)에서 제안된 ‘H2OK 수소 프로젝트’에 설치할 수소 액화 장비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지난 20일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에어리퀴드는 수전해를 통해 생산된 수소를 액화하는 하루 30톤 규모의 액화 장치 2대를 제작해 우드사이드 에너지에 공급할 예정이다. ‘H2OK 수소 프로젝트’는 오클라호마주 아드모어 웨스트포트 산업단지 내에 구축하는 290MW 규모의 액체 수소 프로젝트로, 올해 기본설계(FEED, Front-End Engineering Design)가 완료될 예정이다. 멕 오닐 우드사이드 CEO는 “우드사이드는 미국에서 우리의 신에너지 사업을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라며 “이번 수소 액화 장비 계약 체결은 H2OK 수소 프로젝트를 발전시키는 또 다른 중요한 단계로, 이 장비는 우드사이드가 처음으로 수소를 생산하는 설비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녀는 이어 “우리의 고객들은 수소와 암모니아와 같은 저비용의 저탄소 에너지원을 점점 더 찾고 있다”라며 “H2OK는 상업용 대형 운송
[월간수소경제 성재경 기자] 도요타는 배터리 전기차와 함께 수소연료전지, 수소연소 기술을 동시에 개발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수소엔진을 장착한 새로운 프로토타입 SUV를 공개해 화제가 되고 있다. 차량의 이름은 ‘코롤라 크로스 H2’ 콘셉트로 도요타 코롤라를 기반으로 제작된 해치백 SUV ‘코롤라 크로스’를 기반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 차량에는 ‘GR 야리스(Yaris) H2’에 장착된 1.6리터 3기통 터보차저 내연기관 수소엔진이 들어간다. 고압의 수소 직분사 기술이 새롭게 접목되었으며, 수소연료전지 차량인 미라이에 적용된 수소탱크를 도입했다. 도요타는 그동안 GR Yaris H2를 각종 경기에 출전시키며 수소엔진 차량의 성능을 개량해왔다. 일본의 ‘슈퍼 다이큐 시리즈’를 비롯해 벨기에서 열린 2022 월드랠리 챔피언십 라운드인 ‘이퍼르(Ypres) 랠리’에서 시연 주행을 하기도 했다. 이런 과정을 거쳐 주행 가능 거리를 약 30% 연장했으며, 충전 시간도 기존 5분에서 90초로 단축했다. 수소엔진의 장점은 기존 내연기관 기술을 활용할 수 있고, 배터리에 들어가는 리튬이나 니켈과 같은 희소자원에 대한 의존도를 줄일 수 있다. 코롤라 크로스 H
(주)수소지식그룹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75-15, 910호 (가산동 가산하우스디와이즈타워) 대표자 : 장성혁 | 발행인 : 주식회사 수소지식그룹(장성혁) | 편집인 : 장성혁 | 전화번호 : 02-6929-1270 | 팩스 : 02-6929-1271 등록번호 : 금천, 라00205 | 사업자 등록번호 : 469-88-00570|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 제 2018-서울금천-0117 호 Copyright ©2017 월간수소경제. All rights reserved.
UPDATE: 2022년 12월 30일 11시 56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