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2.17 (토)
2022년 7월 31일 기준 수소 통계입니다(수소충전소 구축 현황은 8월 12일 기준). <월간수소경제>에서 제공하는 통계로 매달 업데이트됩니다.
Copyright @2017 월간수소경제 Corp. All rights reserved.
30 November 2022 | By 이종수 기자
30 November 2022 | By 성재경 기자
30 November 2022 | By 박상우 기자
31 October 2022 | By 이종수 기자
[월간수소경제 성재경 기자]전남 강진에 본사를 둔 국내 기후기술(C-Tech) 기업인 로우카본이 미국 플로리다 포크카운티에 하루 100톤급 청정수소 생산공장을 건설할 계획을 밝혔다. 로우카본의 이철 대표이사는 최근 미국의 언론사인 ‘템파베이 비즈니스 저널(Tampa Bay Business Journal)’과 진행한 인터뷰에서 “2025년 공장 완공을 목표로 멀버리(Mulberry)에 약 4만468㎡의 공장 부지를 매입한 상태”라며 진행 상황을 알렸다. 매체는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기술을 바탕으로 미국 내 청정수소 생산을 위한 투자에 나선 로우카본의 소식과 더불어 주요 기업과 수요처, 주정부와 협력하고 있는 내용을 상세히 다룬 특집기사를 12월 8일(현지시간)에 온라인으로 게재했다. 플로리다 센트럴 개발위원회 션 말롯(Sean Malott) 회장은 “로우카본은 탄소 배출과 온실가스를 줄이는 데 앞장서고 있다”며 “신에너지 분야를 개척하기 위해 로우카본과 전략적으로 함께하고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플로리다 주정부 산하기관으로 민간 우주항공 개발 주관기관인 ‘스페이스 플로리다(Space Florida)’의 CEO이자 일명 ‘로켓맨’으로 통
[월간수소경제 박상우 기자] 한국가스기술공사는 ALTUS Asia Group, 이화전기공업, 이아이디, 이트론과 지난 6일 대전 한국가스기술공사 본사 대회의실에서 ‘폐기물 처리를 통한 수소가스 생산시설 구축’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플라스틱 폐기물이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으로 20% 이상 증가했으나 재활용 비율은 43.6%로 현저히 낮음에 따라 플라스틱 폐기물을 원료로 세계적 수준의 기술플랫폼을 사용해 고품질의 그린수소 생산·공급을 통해 녹색 신산업 육성의 기회로 적극 활용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ALTUS Asia Group은 특수목적법인(SPC) 설립 및 지분투자 등 필요한 제반 프로세스 총괄을, 이화전기공업·이아이디·이트론은 프로젝트 목적 부지 보유업체 인수 및 운영을, 한국가스기술공사는 생산시설 EPC, O&M 총괄 수행 및 관련 업무를 지원 등 각 사의 자원을 활용, 수소경제 기반의 탄소중립 실현 및 ESG 경영 확산을 위해 적극적으로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하루 125톤 폐기물 처리로 4톤의 수소생산이 가능한 시설을 구축할 계획이며, 폐자원 가스화를 통해 생산된 고순도 수소는 수소전기차 및
[월간수소경제 성재경 기자]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DMI)의 수소드론에 장착되는 수소연료전지 파워팩 ‘DP30M2S’ 제품이 국내 최초로 한국가스안전공사로부터 KGS 인증(KGS AH373)을 획득했다고 14일 밝혔다. 지난해 2월부터 수소경제육성 및 수소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이 시행됨에 따라 법령에서 정한 모든 수소용품은 설계부터 생산단계에 이르기까지 법령에 따른 검사에 합격해야 판매와 사용이 가능하다. DMI는 산업통상자원부·한국가스안전공사·산학연 전문가 집단과 오랜 논의를 거쳐 올해 1월 드론용 연료전지의 안전성 기준을 수립한 바 있다. DMI의 DP30M2S는 제조 시설, 기술, 검사 등 전 과정에서 KGS 인증 기준을 통과했다. 이번에 KGS 인증을 획득한 DMI의 파워팩 DP30M2S는 세계 최초로 상용화된 드론용 수소연료전지로 △2시간 이상 장시간 비행 가능 △다양한 드론 제품에 커스터마이징 설계 △배터리와의 하이브리드 시스템 구성으로 인한 높은 안전성 △안정적인 출력 등이 특징이다. DMI 수소드론은 장시간 비행을 통해 조난자, 실종자 탐색과 구조지원이 가능하고 저소음, 저진동의 장점을 갖추고 있어 정찰, 감시 임무도 수행할 수 있다.
[월간수소경제 성재경 기자] 미국의 플러그파워가 수소사업 모델의 시너지 효과를 내기 위해 전기‧수소트럭 제조사인 니콜라와 그린수소 공급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지난 15일(현지시간)에 밝혔다. 니콜라가 개발 중인 트레(Tre) 수소전기트럭은 최대 500마일의 주행거리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플러그는 니콜라로부터 향후 3년 동안 최대 75대의 트레 수소트럭을 구매할 예정이며, 첫 번째 트럭은 2023년에 인도될 예정이다. 플러그는 니콜라의 수소트럭에 자사의 액체수소 탱크를 장착해 그린수소 운반에 활용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진다. 니콜라의 수소트럭 도입은 에너지 탈탄소화를 앞당기기 위한 플러그의 노력과 맞닿아 있으며, 북미 고객에게 그린수소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니콜라가 아리조나주 벅아이(Buckeye) 시에서 추진 중인 ‘수소 허브 프로젝트’가 현재 인허가와 구역 재조정 절차를 거치고 있으며, 장기 장비 조달도 진행 중에 있다. 플러그는 1단계 사업에서 하루 30톤의 액체수소를 생산하고 향후 하루 최대 150톤을 생산하는 통합 액화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허브에서 사용될 저탄소 수소 공급은 니콜라의 수소트럭 판매를 돕고 수소에너지 사
[월간수소경제 성재경 기자] 영국 정부가 원자력과 수소 혁신을 위한 기술 지원에 총 1억200만 파운드(약 1,647억 원)를 지원한다고 12월 13일 밝혔다. 이 기금에는 대기 중이산화탄소를 제거하면서 바이오매스와 폐기물로부터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을 위한 2,500만 파운드, 핵연료 생산을 강화하고 차세대 첨단원자로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7,700만 파운드가 포함된다. 이번 발표는 청정수소 생산 지원과 더불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에너지 안보 강화에 목적이 있다. 영국 정부는 첨단모듈원자로(AMR)의 일종인 최첨단 고온가스원자로(HTGR) 연구의 다음 단계를 시작하기 위해 최대 6천만 파운드의 자금을 지원한다. HTGR은 가정용 전기 생산뿐 아니라 950℃의 열을 생성해 저탄소 수소와 같은 부산물을 얻을수 있으며 기존 원전보다 크기가 작아 건설비도 적게 든다. 또 지속가능한 바이오에너지에서 탄소를 포집해서 영구 저장하는 BECCS 기술을 접목하고 바이오메탄으로 청정수소를 생산하는 B2H2 기술 확보를 위해 2,500만 파운드를 지원하게 된다. 가정의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전략도 발표됐다. 영국 정부는 2035년부터 천연가스 전용 보
[월간수소경제 성재경 기자] 유럽의 남서부 대서양과 지중해 사이에 있는 이베리아반도가 수소를 중심으로 한 유럽의 에너지 관문으로 거듭날 전망이다. 스페인, 포르투갈, 프랑스는 2030년까지 이베리아반도에서 프랑스를 거쳐 유럽 전역으로 수소를 운반할 해저가스관을 설치하기로 합의했다. 이들 3개국 정상은 지난 12월 9일(현지시간) 스페인 알리칸테에서 열린 유럽연합(EU) 지중해 9개국 정상회의 자리에서 이같이 합의했다. 이 자리에는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 안토니오 코스타 포르투갈 총리,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을 비롯해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이 함께했다. 스페인 바르셀로나와 프랑스 마르세유를 연결하는 해저가스관인 ‘H2Med’ 건설에는 25억 유로(약 3조4,400억 원)가 들 것으로 보고 있다. 프랑스, 스페인, 포르투갈은 해저가스관 건설에 필요한 자금의 50%를 3국이 분담하고, 나머지 50%는 EU에서 지원받기를 희망하고 있다. 애초 해저가스관은 수소뿐 아니라 천연가스도 일부 운반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EU의 자금 지원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수소만 운송하기로 했다. 가스관이 완공되면 EU가 2030년 필요로 하는
(주)수소지식그룹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75-15, 910호 (가산동 가산하우스디와이즈타워) 대표자 : 장성혁 | 발행인 : 주식회사 수소지식그룹(장성혁) | 편집인 : 장성혁 | 전화번호 : 02-6929-1270 | 팩스 : 02-6929-1271 등록번호 : 금천, 라00205 | 사업자 등록번호 : 469-88-00570|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 제 2018-서울금천-0117 호 Copyright ©2017 월간수소경제. All rights reserved.
UPDATE: 2022년 12월 16일 18시 01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