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수소경제 이종수 기자] 정부가 지난 2019년부터 추진한 소규모 수소생산기지 구축사업이 중단됨에 따라 수소추출기 업체들이 피해를 보게 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그간 소규모 분산형, 거점형으로 구분해 수소생산기지 구축사업을 추진해왔다. 그런데 국회가 예산 심의 과정에서 사업 규모 확대에 따라 소규모 수소생산기지에 대한 타당성재조사 실시를 결정해 2021년 소규모 수소생산기지(9개) 구축사업의 예산이 집행되지 않았다. 

산업부는 현재 KDI에서 타당성재조사를 진행 중이어서 그 결과가 나올 때까지 소규모 수소생산기지 구축사업이 보류된 상황이라고 설명했지만 사실상 사업이 중단된 것으로 풀이된다. 2022년도 산업부 예산에는 소규모 수소생산기지 구축 예산이 아예 편성되지 않았다.

산업부는 소규모 수소생산기지 대신 탄소중립을 감안해 수전해 수소생산기지 구축으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소규모이긴 하지만 수소경제 사회의 궁극적인 목표인 수전해 그린수소 생산에 시동을 걸었다는 점에서 크게 반길 일이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변화로 인해 정부 정책을 믿고 수소추출기 개발에 투자한 기업들만 피해를 보게 됐다는 점은 그냥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특히 국책과제를 통해 개발한 국산 수소추출기가 제대로 꽃을 피우지도 못하고 사장될 위기에 처했다는 점은 정부 정색 신뢰성에 흠이 가는 부메랑이 될 수 있다.

정부가 정책적으로 밀고 온 사업이기에 수소추출기 생산업체들에 돌파구를 마련해주어야 한다.   

   

이와 관련해 수소융합얼라이언스가 환경부의 수소충전소 구축비용 지원제도에 ‘제조식(온사이트) 수소충전소’ 보조금을 신설해줄 것을 건의한 상태다. 전국 버스차고지에 200여 개 정도의 CNG 충전소가 있는데, 수소버스가 본격 보급되면 기존 CNG 충전소를 수소충전소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수소추출기 생산업체들도 살아남을 수 있는 방안이기 때문이다. 

일본은 제조식 수소충전소에 대해서도 구축비용을 지원하고 있다.

수소경제 사회의 방향성은 그린수소가 맞지만 경제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기술개발이 계속 이루어져야 하는 등 그린수소 개발에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그린수소 시대가 오기 전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는 블루수소 생산·공급이 필요한 만큼 수소추출기 업체들이 계속 사업을 해나가며 수소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시장을 만들어주어야 한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