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수소경제 성재경 기자] 수소법 개정안을 놓고 말들이 많다. 작년 5월 발의된 6건의 수소 관련 법안이 국회 상임위원회의 문턱에 번번이 가로막힌 상황이다. 

가장 큰 논란거리는 ‘청정수소의 정의’다. 탄소를 포집한 블루수소를 청정수소에 넣은 안을 두고 반대하는 목소리가 있다. 대표적인 분이 양이원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다.

2020년 8월 <피플> 코너 취재를 위해 양이원영 의원을 국회에서 만난 적이 있다. 그때 양이 의원은 이렇게 말했다.

“재생에너지 100% 사회와 온실가스 배출 순제로 사회로 가려면 수소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선후가 바뀌었다고 본다. 전체 전력망에서 석탄과 원전을 최대한 밀어내는 재생에너지의 역할이 우선이고, 그런 다음 남아도는 재생에너지 전기를 이용해 그린수소를 생산해야 한다.” 

재생에너지를 우선에 두고 잉여전력으로 수전해를 하는 그린수소를 청정수소로 봐야 한다는 주장이다. 당장은 어렵더라도 이런 명확한 그림을 그리고 가야 ‘청정’의 개념이 훼손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현장의 시각은 다르다. 남부발전의 신인천빛드림본부 담당자의 말을 들어보자.

“탄소중립을 위해 신재생에너지로 가야 한다는 필요성을 느끼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운 부분이 많다. 태양광만 해도 새만금 정도를 빼면 넓은 부지를 확보하기가 어렵다. 그나마 비용이 저렴한 육상풍력은 적당한 부지를 찾기가 어렵고, 주민 민원을 해결하기가 힘들다. 해상풍력의 경우에는 공사비가 아주 많이 들고 사업 시작부터 최소 10년은 잡아야 하는 장기 프로젝트다. 그에 반해 연료전지는 확장이 쉽고, 연간 이용률도 90%가 넘어 매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국내 태양광발전의 발전효율은 약 8~15%, 풍력발전의 효율은 평균 24% 정도로 매우 낮다. 정부와 대기업은 많은 양의 청정수소를 해외에서 도입해야 한다고 본다. 이때 블루·그린수소의 색깔 구분은 사실상 큰 의미가 없다. 

이 구분이 중요한 건 국내 수소생산 기업이다. LNG나 수소 관련 기업들에게 과도한 지원이 돌아가는 걸 막아내는 장치만 마련된다면 ‘블루수소’를 청정수소 안에 두는 것이 그리 큰 특혜가 되지는 않는다. 블루수소가 지금은 청정이지만, 훗날에는 청정이 아닐 수 있다. 이 또한 ‘선후’의 문제이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