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수소경제] 지난달 강릉에서 안타까운 소식이 날아들었다. 재생에너지 연계 하이브리드 연료전지발전 기술개발 과제 실증단지에서 수소탱크가 폭발해 인명사고가 난 것이다. 

수소가 비교적 안전한 가스로 취급받는 것은 가스 자체의 안전성에 기인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점화 및 폭발 시 큰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그만큼 안전관리에 중점을 두고 이중삼중으로 안전장치를 마련하는 등의 깐깐한 규정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수소는 글로벌 전 산업에 걸쳐 범용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안전관리시스템에 따라 좀처럼 사고소식을 접하기 어렵다. 특히 최근 수소경제 선봉에 나선 수소전기차·수소인프라 사고는 아직 보고되지 않을 만큼 제조·설치·활용단계에서의 안전기준은 철저하게 지켜지고 있다. 

그러나 이번 사고로 자칫 수소경제 확산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아직 수소에너지에 대한 주민수용성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소탱크 = 폭발 = 대형 사고’로만 비춰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정부는 실증단계의 수소관련 시설에 대한 안전기준과 보급단계의 상용 수소전기차·충전인프라의 그것과는 다르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사고의 여파가 최근 힘을 쏟고 있는 수소경제 정책에 미칠 수 있는 악영향을 최소화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정부의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수소는 이번 사고를 계기로 엄격한 ‘검증대’에 올려질 가능성이 높다. 실제 수소에너지 확산을 위해서는 안전이 최우선 담보돼야 하는 만큼, 가장 먼저 사고원인 규명에 최선을 다해 향후 촘촘한 안전관리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 이다.  

‘연구·실증단계의 안전관리 규정’ 마련 역시 필요하다. 상용시설은 국제기준에 맞춰져 있어 안전하다는 식의 논리로는 산업을 이끌 수 없다. 사고 발생과 피해는 연구실증 시설이나 상용시설을 가리지 않기 때문이다. 이래서는 주민수용성을 기대하기 어렵고 그 만큼 수소경제 확산이 더딜 수밖에 없다. 

고압가스에만 엄격한 현재의 안전관리 규정을 저압가스로 넓혀야 한다. 저압은 고압가스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안전하다는 인식에는 동의할 수 없다. 이번 강릉사고와 같이 저압에서도 강력한 폭발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섣부른 예단을 경계해야 한다. 사고원인에 대해 정부는 국과수를 축으로 관계 전문가의 합동조사를 진행 중이다. 이런 와중에 ‘~일 것이다’라는 식의 추정과 예단은 오히려 사고 규명을 어렵게 할 수 있고 제2의 피해자까지 낳을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