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수소경제] ‘국가 R&D 예산 20조 원 돌파’.

연초 들려온 소식이다. 정확히 20조 3,997억 원이 편성됐다.

기초연구만이 아니라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핵심사업의 집중적인 육성이 필요하다고 정부가 판단한 것이다.

이 같은 결정에 수소산업계 역시 환호했다. 정부가 데이터, AI와 함께 ‘수소경제’를 3대 전략투자 분야로 선정해 1조 5,137억 원을 투입키로 했기 때문이다. 이들 분야는 ‘플랫폼 경제’ 구현을 목표한다. 투자규모나 리스크 측면에서 개별기업이 추진하기 어려운 만큼 국가 차원의 전략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본 것이다.

정부의 방침은 섰다. 예산도 확보했다. 이를 증명하듯 최근 정부 지원 및 공모사업이 쏟아지고 있다. 이쯤에서 수소산업계 내부 모습을 좀 더 직시할 필요가 있다. 외부환경은 변화의 신호를 보내고 있는데 정작 산업계 내부에서는 과거 습성에만 의존해서는 안 될 것이기에 말이다.

올해 수소경제 R&D 예산은 약 1천억 원 수준이다. 과기부, 산업부 등 연구개발 필요성이 많은 부처의 예산이 높다. 든든한 실탄이 마련된 만큼 신규 연구개발 과제가 잇따르고 있지만 정작 참여하는 주체의 모습은 예전과 다를 바 없어 보인다. 과제 기획부터 어려움을 겪는 경우도 태반이다.

이렇게 되어서는 곤란하다. 특히 ‘수소경제’는 산업화 진입을 앞두고 있는 미래유망 업종이다. 향후 시장 확장은 물론이고 에너지전환에서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수소경제를 꽃피우기 위해서는 단위 기술도 요구되지만 기술 간 융합이 반드시 필요하다. ‘수소’는 2차 에너지원으로 다양한 기술적 접목이 필요한 에너지이다. 한계로 작용될 수도 있지만 오히려 융합에 있어서 최적의 에너지원인 셈이다.

과거와 같이 출연(연)기관이나 개별기업의 특정기술 개발에 의존해서는 성과를 이뤄 낼 수가 없다. 기술개발이 이뤄진다고 해도 기술 확산에 제한적이다. 산업 전체 공동의 기술이 개발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즉 정책과 기업의 기술개발 니즈(needs)를 우선적으로 파악해 연계하고 최적의 조합을 구성할 수 있는 중간 기능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수소산업계에 ‘연구조합’ 설립을 제안한다. 산업계가 주도적으로 산학연 협력을 이끌기 위해서는 신뢰를 기반해야 하고 실질적인 협력을 이끌 수 있는 역할이 요구된다. 연구조합은 R&D를 매개로 정부와 기업, 연구기관, 대학을 이어주는 연구개발 중간기능의 조직이다. 각 주체의 협력을 강화해 성과를 높일 수 있다. 산업 현장의 R&D 수요 파악은 물론 개별이 아닌 공동의 필요기술을 정확하게 도출할 수 있고 수행에서도 최적의 연구개발 공동 프로젝트팀 구성을 기대할 수 있다.

최근 수소산업계는 정부발 우호정책에 기대감이 높다. 반면 우려도 크다. 자칫 거품으로 꺼질 수 있다는 불안감에서다. 거품은 갈피 못 잡고 우왕좌왕 분주할 때 생긴다. 차분하게 정책과 산업을 연결해 성과를 만들어 가는 모습을 보여준다면 더욱 강력한 지원과 협력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또 그렇게 해야만 한다.

이제 ‘수소경제 연구조합’을 시작으로 합리적이고 지속가능한 시스템 구축을 고민해야 할 때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