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광역시는 7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수소에너지와 태양광을 중심으로 하는 ‘제5차 지역에너지계획 최종 보고회’를 개최했다.(사진=대전광역시)

[월간수소경제 이종수 기자] 대전광역시가 수소에너지와 태양광을 중심으로 에너지전환을 본격 추진한다. 올해부터 오는 2022년까지 민간자본 7,000억원을 유치해 수소연료전지 발전 설비를 확대하고 약 723억원을 투입해 수소차 1,000대 보급 및 수소충전소 5개소 설치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대전광역시는 7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에너지위원회를 개최하고 ‘스마트 제로 에너지 도시 3050’ 실현을 위해 2022년까지 수소에너지와 태양광을 중심으로 전력자급률 17.7% 달성을 주요 골자로 하는 ‘제5차 지역에너지계획(2018~2022년)’을 심의했다.

‘스마트 제로 에너지 도시 3050’은 2030년까지 소비전력의 50%를 신재생에너지로 생산한다는 대전광역시의 에너지전환 정책이다. 시의 2017년 기준 전력자급률은 1.7%로 미미하다. 

시는 전력 자급률 제고를 위해 2022년까지 태양광으로 412GWh, 수소연료전지 발전 등으로 3,106GWh 등 총 3,518GWh의 전력을 생산하고 에너지 효율화 시책으로 360GWh의 전력을 감축해 정부의 분산전원 시책에 적극 부응할 계획이다.

특히 ‘스마트 제로에너지 도시 3050’ 실현에 중추적 역할을 맡은 수소연료전지 발전은 태양광 발전보다 공간적인 제약을 덜 받는 이점을 살려 RPS 적용을 받는 발전공기업 등과 협업해 5년 이내에 130MW 규모의 발전 설비 확대를 추진한다.

한솔제지 신탄진 공장, 신동둔곡지구, 평촌 도안단지 등을 대상으로 하는 수소연료전지 발전사업에는 민간자본 7,0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올해 현재 LH 서남부 11.4MW, 한솔제지 30MW 총 2,400억원 규모의 수소연료전지 발전사업이 추진 중이다.

또한 화석연료를 수소에너지로 대체하기 위해 향후 5년 이내 약 723억원을 투입해 수소차 1,000대를 보급하고 수소충전소 5개소를 마련하는 등 수소에너지 산업을 집중 육성할 방침이다.

태양광 발전의 경우 지역 면적은 좁고 건축물은 집중된 도시 특성을 감안해 종전에 건물 옥상 및 베란다 등에 설치된 태양광발전시설을 앞으로 BIPV 확대를 통해 건축 마감재와 발전을 동시 지향할 수 있도록 전환한다. 사업 시행주체도 관 주도에서 시민단체, 사회적 기업 등과 협력해 민간 주도의 발전사업을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시는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국정과제 및 국가 에너지기본계획과 연계한 신재생에너지 생산 확대, 신기술·신산업 육성 등 5대 분야 40개 전략사업을 발굴했으며, 총 1조4,000억원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재원별로 보면 국비 2,500억원(17.8%), 시비 1,500억원(10.7%), 나머지 71.5%인 1조원은 민간자본이 소요된다.

한편 5대 분야 40개 전략사업과 별도로 이날 위원회에서는 에너지 전담기구 설치, 자치구 에너지 조례제정, 에너지산업 발전기금 설치, 수소산업진흥센터 설립, 수소에너지의 날 행사 등 다양한 정책 건의사업도 논의됐다.

한선희 대전광역시 과학경제국장은 “에너지위원회에서 심의한 지역에너지 계획과 정책대안으로 제안한 5대 분야 40개 전략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중앙부처 및 관련 부서와 협조해 예산을 최대한 확보하겠다”라며 “태양광과 수소에너지 보급, 에너지 전 과정에 ICT 활용 촉진을 통한 스마트 제로 에너지 대전 구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