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현대차그룹의 국내 최초 융합스테이션.

[월간수소경제 김동용 기자] 새 정부 들어 미세먼지 저감과 에너지전환 정책이 핵심 이슈로 떠오른 가운데 수소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 및 확산을 위한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광주전남연구원(원장 박성수)에서 제기됐다.

 

특히 선제적 수소산업 생태계 육성정책을 통해 미래 친환경차 선도도시로서 광주광역시의 위상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박동원 광주전남연구원 연구위원 등은 ‘광전 리더스 Info’ 제76호 ‘수소경제의 시작, 수소차 충전인프라 확충부터’를 통해 “수소경제사회 초기 진입 단계에서 수소차 보급 가속화를 위해 수소차 충전인프라 구축 활성화 및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관련 법·제도 마련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수소충전소 21개소(12기 운영 중) 중 일반인이 충전할 수 있는 곳은 6곳에 불과한 실정으로 대부분 연구소나 기업 내부용이다. 광주지역은 진곡산단에 위치한 수소충전소와 수소·전기 융합충전소 2기가 운영 중이며, 수소차 카쉐어링(차량공유) 시범사업을 통해 수소차 15대를 운영 중이다.

 

이와 관련 박동원 연구위원은 “광주시가 수소차 허브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충전인프라의 선제적 확보가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 수소충전소 입지규제 완화와 보급을 위한 단계적인 지원제도를 수립·촉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단기적으로 개발제안구역 내 충전소의 시설중복허용을 통해 인프라 수요에 대응하되 장기적으로는 수소차 운전자의 접근성과 상시적 충전의 편의성을 위해 교통 결점점(node : 교차점, 인터체인지 등)에 입지를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박 연구위원은 충전인프라 확산을 위한 보조금 지원제도 확대 및 민간참여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는 에너지 유통·설비업체 및 수소에너지 충전시장에 관심 있는 민간기업 참여유도, ‘프로젝트 파이낸싱’ 방식을 통한 정부 지원사업에 대한 리스크 분담, 보조금 사업자 대상 5년간 충전소 의무운영 명문화 등을 제시했다.

 

나아가 이러한 민간투자를 활용한 복합휴게충전소의 선제적 구축 및 사업화 모델 발굴을 통해 광주시의 수소산업 경쟁력 기반을 강화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도 수소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전문기관으로서 ‘수소산업기술원’ 건립 추진과 광주수소융합얼라이언스추진단 ‘H2 Gwangju’의 발족을 통해 대형 프로젝트 및 사업화 모델의 지속적인 발굴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