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수소경제 이종수 기자] 지난 9월 13일부터 15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수소산업 전문 전시회 ‘H2 MEET 2023’이 열렸다. 이번 전시회는 문재인 정부 시절의 화려함은 줄어들고 차분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됐다.
문 정부 때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등 다양한 로드맵이 발표되고 세계 최초로 수소법을 제정하는 등 정부 차원의 움직임이 분주했고, 많은 대기업이 수소사업 투자계획을 발표하는 등 그야말로 역동적인 모습들이 이어졌다.
이러한 분위기는 과거 전시회에서 그대로 드러났다. 특히 지난 2021년 9월에 열린 ‘수소모빌리티쇼+(H2 MEET의 전신)’에서는 수소기업협의체 ‘Korea H2 Business Summit’ 창립총회에 참석하기 위해 국무총리와 대기업 수장들이 대거 행사장을 찾아 수소경제 추진 의지에 대한 열기가 최고조에 달했던 기억이 난다.
올해 전시회에는 정부와 기업의 고위층 인사들이 대거 몰리지 않아 수소경제에 대한 관심이 줄어든 게 아니냐는 시각이 있다. 사실 현장에서 기업을 취재하다 보면 현 정부가 이전 정부보다 수소경제에 대한 의지가 부족한 것 아니냐는 얘기를 종종 듣곤 한다.
지난 7월 인터뷰를 위해 만났던 이옥헌 산업통상자원부 수소경제정책관은 수소 관련 재정지원이 2018년 1,027억 원에서 2023년 1조2,834억 원으로 10배 이상 증가했고, 세계 최초로 수소발전 입찰시장을 도입하는 등 현 정부의 수소경제 추진에 대한 의지는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지난 정부가 국내 수소경제에 대한 계획과 비전을 제시했다면 현 정부는 제도와 인프라 등을 마련해 기업들의 투자계획이 집행되도록 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화려한 세리머니는 지양하고 차근차근 내실을 다지겠다는 얘기다. 기자도 공감하는 부분이다.
포스코의 한 관계자는 아직 수소경제에 불확실성이 있고 실제 이행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지만 탄소중립 시대에 생존을 위해선 수소 비즈니스를 추진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차분한 분위기 속에서 수소경제 열기는 식지 않았다. 민관 협력을 통해 수소경제를 장기적으로 차근차근 추진해 나갈 시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