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단신

“연료전지 비즈니스 모델 활용 분산특구 지정 필요”

2023.09.14 17:31:58

김정숙 수소연료전지산업협회 사무국장, ‘분산에너지특별법 세미나’서 밝혀
비즈니스 모델로 도심지 시설·건물 및 산업단지·데이터센터 제안
연료전지 기반 자가발전 데이터센터 시범사업 등 6개 방안 제시

 

[월간수소경제 성은숙, 이상현 기자] 최근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이 제정된 가운데 수소연료전지 비즈니스 모델을 활용한 분산특구를 지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4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 세미나 '수소연료전지의 역할과 과제'에서 발표자로 나선 김정숙 한국수소연료전지산업협회(KHFICA) 사무국장은 이같이 주장했다.  

 

김정숙 사무국장은 수소연료전지 비즈니스 모델로 산업단지, 도심지 내 시설·건물, 데이터센터 등 총 3개를 소개했다. 

 

그는 세 가지 비즈니스 모델 실현을 위해선 지정된 분산 특구에서 사업을 통해 심도 있는 실행방안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세부사항으로는 △수소연료전지 기반 자가발전으로 계통부담을 최소화하는 데이터센터 시범사업 추진 △기존 신도시 재개발 및 신도시 택지 조성시 일정 비율 이상의 수소연료전지 설치 유도 △친환경 교통인프라 확대에 따른 전기차·수소차 충전시설과 연계한 수소연료전지 시범사업 추진 △재생에너지 간헐성을 보완하면서 급전 지시와 부하추종운전 등 전력수급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는 수소연료전지를 포함한 통합발전소(VPP) 시범사업 추진 △집단에너지 및 구역전기 사업부지 내 수소연료전지 설치 후 전기·열 판매(전기차 충전소 연계) △노후 산단 리모델링 및 신규 산단 조성 시 일정 비율 이상의 수소연료전지 설치 유도 등을 꼽았다. 

 

김 사무국장은 "수소연료전지 비즈니스 모델 실행을 위해서는 수소연료전지의 분산편익 지원, 산업단지고도화사업, 환경개선 펀드와 ESCO사업 등의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각 분야별 수소연료전지산업과의 협력 방안 모색'을 주제로 토론이 진행됐다. 좌장은 김근호 한국에너지공단 분산에너지팀 팀장이 맡았다. 패널은 △장원석 한국지역난방공사 전력사업부 부장 △안보광 한국산업단지공단 펀드사업팀 팀장 △송준화 한국데이터센터에너지효율협회 사무국장 △장권영 시너지 대표 등이 참석했다.  

 

장원석 한국지역난방공사 전력사업부 부장은 집단에너지 연계 수소연료전지 사업 모델을 설명했다. 장 부장은 제도의 취지, 사업여건 등을 종합 고려하면 '집단에너지 사업장(구역전기 포함)'이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최적의 대안이라고 했다. 집단에너지(구역전기) 사업장 활용 방안으로는 배열회수를 통한 열공급, 한국형 통합발전소 실증 등을 제안했다. 

 

안보광 한국산업단지공단 펀드사업팀장은 산업단지와 연계한 수소연료전지 비즈니스 모델의 중요성을 주장했다. 온실가스 감축 글로벌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중장기 산업단지 전력공급 방안으로 충분히 검토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특히 산업단지 유형별 분산에너지 설치방안이 차별화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수소연료전지 사업 투자 활성화를 위해 기술개발, 실효성 있는 제도적 지원 강화 방안 등이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장권영 시너지 대표는 수소연료전지가 분산전원으로 확산, 산업이 활성화되려면 수소발전 입찰시장이 활성화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장 대표는 "대용량 에너지 소비자에게 자가발전비율을 단계적으로 높이는 의무를 부과하고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 인센티브는 현재 9~10% 정도 되는 운영예비력을 줄이고, 여기에 쓰이는 재원을 활용하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송준화 한국데이터센터에너지효율협회 사무국장은 상업용 데이터센터 사업자들이 산업부의 데이터센터 지방 분산 정책 추진에 따른 많은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봤다. 이에 수소연료전지를 데이터센터의 주전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선결 또는 검증돼야 할 기술적·경제적 사항들을 짚었다. 송 사무국장은 △전력공급의 안정성(출력) 확보 △수소 공급방식 △수소 운송, 저장, 안전 △한전 전기요금 대비 경제성 △수소연료전지 이용을 통한 RE100 인정 여부 등에 대한 방안 제시를 당부했다. 

 

김근호 한국에너지공단 분산에너지팀 팀장은 신규 택지개발 등 도심지 내 설치의무량 충족을 위해서는 부지 활용 측면에서 CHP와 연료전지가 최우선 고려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설치의무제도에서는 전력판매보다 자가소비가 우선 고려사항인 데, 설치 이후 가동 여부가 불투명해 열 수요처가 확보되어 있는 집단에너지사업과 연계해 설치되도록 해 연료전지의 활용을 극대화하는 방법이 긴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또 김 팀장은 전력판매 특례가 적용되는 특화지역에서는 소비자가 한전 전기와 분산에너지사업자의 전기 중 선택할 수 있는 데, 분산에너지원의 경제성이 최우선 고려사항이기에 상대적으로 발전단가가 높은 연료전지가 채택될 가능성이 낮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에너지슈퍼스테이션 등 전기차 충전과 연계된 사업 등이 연료전지 활용 확대의 현실적인 방안이라고 밝혔다.

성은숙, 이상현 기자 phe@h2news.kr
Copyright @2017 월간수소경제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수소지식그룹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75-15, 910호 (가산동 가산하우스디와이즈타워)
등록번호 : 금천, 라00205 | 대표자 : 장성혁 | 발행인 : 주식회사 수소지식그룹(장성혁) | 편집인 : 장성혁 | 전화번호 : 02-6929-1270 | 팩스 : 02-6929-1271
사업자 등록번호 : 469-88-00570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 제 2018-서울금천-0117 호
Copyright ©2017 월간수소경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