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수소경제 박상우 기자] 발걸음을 재촉하다 발목을 삐끗할 때가 있다. 그래서 멈추고 뒤를 돌아보면 미처 발견하지 못한 돌부리를 보게 된다. 그 작은 돌부리가 잰걸음에 제동을 건 것이다.

이러한 모습은 수소경제에서도 볼 수 있다. 발걸음을 재촉하다 작은 돌부리와 같은 비현실적인 규제 때문에 속도가 느려지거나 아예 멈출 때도 있다.

지난 7월 27일 수도권 수요를 책임질 평택 수소생산기지가 들어섰다. 

평택 수소생산기지는 하루 7톤의 수소를 생산해 수도권에 있는 충전소 등에 공급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운송비가 울산, 여수, 대산에서 공급될 때보다 50%가량 절감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가 수소공급의 지역 편중을 해결하고자 들어선 평택 수소생산기지도 비현실적인 규제를 넘지 못했다.

평택 수소생산기지 뒤편에는 한국가스공사의 평택 LNG인수기지가 있다. 그래서 많은 이들은 당연히 평택 LNG인수기지에서 천연가스를 공급받는 줄 알고 있다. 그러나 실상은 소매 도시가스사업자 삼천리에서 도시가스를 공급받고 있다. 

평택 수소생산기지는 당초 LNG인수기지에서 천연가스를 공급받으려 했으나 비현실적인 규제에 가로막혀 코앞에 있는 LNG인수기지를 두고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삼천리에서 도시가스를 공급받는 것이다. 

무엇보다 제2차 수소경제위원회에서 관련 규정을 개정하기로 의결했으나 아직도 개선되지 않았다는 것이 두고두고 아쉽다.

그런데 수소생산기지는 평택뿐만 아니라 부산, 광주, 대전, 인천, 전북 완주, 강원 삼척 등 여러 곳에 들어설 예정이다. 이들도 평택처럼 비현실적인 규제들로 인해 불필요한 비용과 시간을 소모할 가능성이 있다.

정부가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 비현실적인 규제 때문에 제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다면 그보다 뼈아픈 것이 어디 있을까?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