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정우 포스코 회장이 지난 7월 10일 광양제철소 3고로 풍구의 화입 행사에 참여했다.(사진=포스코)

[월간수소경제 성재경 기자] 포스코가 수소사업 진출을 예고했다. 지난 11월 29일 포스코는 수소사업 진출을 위한 단계별 로드맵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달 11일 예정된 이사회에 로드맵을 보고한 뒤 승인을 거쳐 수소사업 진출을 공식화할 계획이다. 이는 정부의 탈탄소 움직임에 발맞춰 수소를 배터리 소재와 함께 미래 먹을거리로 삼겠다는 취지로 읽힌다.

포스코는 국내 철강 소비량이 점차 둔화되고, 글로벌 시장에서도 저가 경쟁이 이어지면서 그룹 차원에서 신성장 동력을 찾는 데 주력해왔다. 

산업연구원은 지난 10월 철강제품의 기초 반제품인 조강생산량이 2030년과 2040년 사이에 정점에 도달한 후 점진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업계 또한 중국발 공급과잉 여파로 철강 산업의 부진이 장기화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포스코는 2018년 말 조직을 철강·글로벌인프라·신성장 등 3개 부문으로 나누고, 2030년까지 각 부문의 매출 비중을 40%, 40%, 20%로 설정한 바 있다. 

특히 전기차용 이차전지(배터리) 사업에 힘을 실어 이차전지에 들어가는 양극재의 원료인 리튬 확보와 생산에 나섰고, 포스코케미칼을 통해 양극재·음극재의 대량생산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포스코는 배터리 소재에 이은 사업 포트폴리오에 성장 잠재력이 높은 수소를 추가하기로 했다. 이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기점으로 한 정부의 수소 정책, 파리기후협약에 따른 글로벌 ‘탄소중립’ 정책과 무관하지 않다. 

포스코는 제철소에서 발생하는 부생수소를 외부에 판매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해외에서 생산한 수소를 국내로 수입하는 방안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제철소는 철광석과 석탄을 1,500도가 넘는 고로(용광로)에 넣어 만든 쇳물로 철강 제품을 생산한다. 석탄을 주 연료로 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배출이 불가피하다. 

포스코는 제철 공정에서 이산화탄소 회수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개발을 진행해왔으며, 장기적으로는 수소를 연료로 하는 ‘수소 환원 제철’을 통한 탈탄소화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