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소충전소 건설 가능성에 대한 시나리오: 2050년 독일의 일일 수소 수요.(그림=프라운호퍼 ISI)

[월간수소경제 편집부] 수소연료전지로 구동되는 트럭은 ‘독일 수소전략’에서 도로 화물 운송의 탈탄소화를 이끄는 중요한 수단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수소충전 인프라의 확충이 꼭 필요하다.

독일의 싱크탱크인 프라운호퍼 ISI는 과학적 시뮬레이션 모델을 통해 2050년에는 140기의 수소충전소 네트워크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독일의 도로화물은 연간 약 50메가톤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며, 이중 절반은 26톤이 넘는 대형트럭 25만 대가 차지하고 있다. 

파리 기후협정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운송 부문에서 2050년까지 사실상 배출가스가 없어야 한다. 탈소화의 유일한 대안은 기존 내연기관 트럭을 수소전기트럭으로 완전히 교체하는 것이다.

연간 약 130만 톤의 수소 수요를 충족하면서 트럭의 안정적인 운행을 보장하려면 충전소 인프라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독일 전역에 80개가 넘는 수소충전소가 있지만, 대부분은 트럭에 적합하지 않고 충전이 가능하더라도 용량이나 충전시간 등에 제약이 따른다.

프라운호퍼 ISI는 2050년 독일에서 완전히 확장된 트럭 수소충전소 네트워크는 연간 약 90억 유로(12조 원)의 총 비용으로 대형트럭의 운행을 처리할 140여 기의 충전소가 필요하다고 전망했다. 

충전소는 고속도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비교적 균등하게 분포되며, 환승 경로와 산업 지역에 집중 배치된다.

이번 연구를 이끈 Martin Wietschel 박사는 “EU 지침에 따르면 2030년까지 트럭의 탄소 배출량은 2019년보다 30%가 낮아야 한다”며 “2030년 약 5만 대의 트럭에 대응할 70기의 충전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수소충전소에 대한 정부 지원 문제가 신속히 해결되어야 하고, 충전소에 전해조 시설을 구축해 수소를 생산하거나, 대형 수소저장 시설을 구축해 유연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