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수소경제 이종수 기자] 지난달 독일에서 한 통의 전화를 받았다. 독일의 한 기업이 한국 시장에 수소 관련 제품을 알리고 싶다는 내용이었다. 이와 비슷하게 중국의 수소 관련 기업에서도 이메일을 받은 바 있다. 한국 시장의 관련 기업과 접촉하고 싶은데 가교역할을 해달라는 요청이었다.

최근 국내외적으로 기자한테 걸려오는 전화나 이메일이 확실히 많이 늘었다. <월간수소경제>에 기술·제품 광고를 게재하려는 문의도 증가하고 있다. 시간이 갈수록 시장의 움직임이 더 빨라지고 있다는 느낌을 강하게 받는다.

지난 6~7월이 분수령이 된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는 수소법 시행(2021년 2월 5일) 전에 범부처 수소경제 컨트롤타워인 ‘수소경제위원회’가 출범하고 수소경제 전담기관 3곳도 지정됐다.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가 더해지면서 수소경제를 경제활력의 돌파구로 삼고, 수소경제 추진을 가속화하기 위해서다.

해외에서는 독일과 EU가 총 수백조 원 투자 규모인 ‘수소전략’을 발표함으로써 글로벌 수소 관련 시장이 후끈 달아오르고 있다.

특히 지난 7월 1일 열린 ‘제1차 수소경제위원회’에서 심의·의결된 ‘수소산업 생태계 경쟁력 강화방안’ 중 철강, 시멘트, 정유 등 산업 부문에도 수소 도입을 점진적으로 확대한다는 내용이 눈에 띈다. 

지난해 정부가 발표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은 ‘수소전기차’와 ‘연료전지’를 양대 축으로 한다. 산업 부문에 대한 수소 도입은 이번 ‘수소산업 생태계 경쟁력 강화방안’에서 새롭게 추가된 것이다. 이렇게 되면 수소 시장이 더욱 확장되는 셈이다. 

이처럼 생각보다 빨리, 폭넓게 수소경제 정책이 만들어지고 관련 시장이 조성될 것으로 보인다. 

<월간수소경제>는 창간 3주년을 맞아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미래 수소경제 전망에 대한 질문에 ‘(매우)밝음’이 81.4%(매우 밝음 21.6%, 대체로 밝음 59.8%)를 차지했다. 수소법, 수소경제위원회 등 범정부적으로 수소경제 이행체계를 구축해 정권이 바뀌어도 지속적으로 수소경제를 추진할 수 있다는 확신이 선 것으로 해석된다.

그간 수소경제 분야에 성과가 있었지만 지금이 바로 진정한 수소경제 시작점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모든 일은 시작이 어려워서 그렇지 일단 시작하면 어느 계기로 인해 가속도가 붙고, 하나씩 열매를 맺기 마련이다. ‘시작이 반’이라고 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