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수소경제 성재경 기자] 수소에너지에서 미래를 찾겠다는 목소리가 곳곳에서 들린다. 일본과 한국, 중국을 비롯해 네덜란드, 호주, 노르웨이, 독일, 아이슬란드 등 ‘국가 수소 전략’을 내세운 나라들이 속속 늘고 있다.

최근 가장 큰 이슈는 독일이었다. 독일 정부가 지난 6월 10일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계획의 일환으로 수소 생산과 사용 증대를 위한 장기 전략에 합의하면서 총 90억 유로(약 12조2천억 원)의 투자 계획을 밝혔다.

여기에는 아프리카의 관문으로 통하는 모로코 등 개발도상국의 수소 프로젝트에 투자하기로 한 20억 유로가 포함되어 있다. 

노르웨이도 ‘국가 수소 전략’을 발표하고 북부에 있는 MO 국가산업단지의 철강 제조 공정에 그린 수소를 활용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했고, 호주에서는 태양광과 풍력발전, 수전해 시설을 갖추고 그린 수소를 생산하는 ‘애로우스미스(Arrowsmith) 수소 프로젝트’가 시작됐다. 

세계적인 석학인 제레미 리프킨 교수가 지난 2002년에 화두처럼 던진 ‘수소경제(The Hydrogen economy)’(국내에선 ‘수소혁명’이란 제목으로 출간됐다)가 눈앞으로 성큼 다가온 모양새다.  

리프킨 교수는 최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기후위기 극복·탄소제로시대를 위한 그린뉴딜 토론회’에 화상으로 출연해 기조연설을 한 바 있다. 

그는 올해 초 ‘글로벌 그린뉴딜’이란 책을 펴냈고, 이 책이 환경부 직원들이 달달 외우고 다닌다는 필독서 목록에 오르더니, 현 정부가 추진하는 ‘한국판 뉴딜’에 과감히 포함됐다.

정부는 기후위기와 경제위기를 동시에 극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고심해왔고, 그 비전을 ‘한국형 그린뉴딜’에서 찾으려 한다. 디지털, 스마트, 비대면…. 이런 문구들 사이에 ‘수소’도 한자리를 당당히 차지하고 있다.

수소경제와 그린뉴딜 사이에는 분명한 연결고리가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국형 그린뉴딜 정책의 성공은 수소경제 활성화에 달렸습니다.”

앞으로 이런 말을 자주 듣게 될 것 같아 어깨가 무겁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