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수소경제] 수소경제로의 흐름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정부는 최근 수소경제 이행 전담기관 선정을 마쳤다. 진흥과 유통, 안전을 담당할 기관으로 수소융합얼라이언스, 한국가스공사, 한국가스안전공사가 낙점됐다.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한 수소경제 정책의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수소경제위원회’가 1일 발족해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주요 계획을 승인했다. 이제 남은 것은 법적 근거에 따른 실행뿐이다. 내년 2월 수소법 시행까지 발 빠른 준비 작업이 착수될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국내 움직임에 더해 지난달 10일 발표된 독일의 ‘국가 수소 전략’은 글로벌 수소경제 확산에 불을 지폈다. 독일의 수소 전략을 들여다보자. 

독일은 수소경제 이행의 명분부터 실행까지 구체적인 계획을 쏟아냈다. 가장 먼저 수소경제를 탄소경제를 종식시킬 강력한 대안으로 꼽았다. 탄소를 줄이고 궁극적으로 ‘탄소 제로 사회’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수소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에 초첨을 맞췄다.   

이를 위해서는 ‘깨끗한 수소생산’이 필수적으로 재생에너지와 연계한 그린 수소를 우선적으로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2030년까지 5GW, 2035년까지 총 10GW의 수소생산 설비, 즉 수전해 설비를 확충해 나가기로 했다. 여기에 투입되는 예산이 약 10조 원에 이른다. 이러한 투자에도 자국 내 그린 수소 생산이 부족하다고 판단해 아프리카에 약 3조 원을 추가 투입, 그린 수소를 생산키로 했다.

수소의 활용 범위도 전방위적이다. 단순히 자동차 연료나 난방 등으로만 국한하지 않았다. 철도나 항공 등의 수송·운송분야는 물론이고 철강과 비료·화학 등 다양한 산업으로 수소의 쓰임새를 확장키로 했다. 독일은 이 같은 계획 추진을 위해 산학연관 전문가로 구성된 수소위원회를 구성키로 하고 3년마다 전략 이행을 점검한다는 방침이다.    

독일의 수소 전략 발표는 수소경제를 특정 국가나 대륙이 아닌 ‘글로벌 흐름’의 신호탄으로 받아들이기 충분하다. 유럽의 중심국인 독일의 수소 전략은 ‘EU(유럽연합) 수소 전략’의 예비적 성격을 지닌다. 실제 많은 기관과 전문가는 조만간 발표키로 예정된 ‘EU 수소전략’이 독일의 전략과 유사한 방향으로 맞춰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제 수소경제는 특정 국가의 정책을 넘어섰다. 에너지전환의 중심이며 미래 중심산업으로 성장할 ‘총아’로서 받아들인다. 이는 다른 관점에서 보면 ‘수소경제 글로벌 주도권 경쟁’이 본격화된 것으로도 생각할 수 있다. 각국의 기술 선점과 산업 확산 움직임이 거세질 것이다. 

우리도 이러한 흐름을 눈여겨봐야 한다. 그렇다고 새로운 계획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이미 ‘로드맵’과 ‘법’이라는 구체적인 실행방안과 강력한 진흥책을 마련해 앞서 나아가고 있다. 오히려 필요한 것은 우직함일 것이다. 비록 느린 걸음일지라도 말이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