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서울 롯데호텔에서 수소산업 관련 30개 기업·기관과 해외 청정수소 공급망 구축 협약을 맺었다.(사진=산업부)

[월간수소경제 성재경 기자] 민관이 국내 수소 수요 증가에 대비해 해외에서 수소를 도입하기 위한 공급망 구축에 본격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수소산업 관련 30개 기업·기관과 함께 해외 청정수소 공급망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그린수소 해외사업단을 발족했다. 

협약에 참여한 곳은 한국가스공사, 한국전력 등 공기업 5곳, 에너지기술평가원 등 준정부·연구기관 6곳, 수소융합얼라이언스추진단, 한국선급 등이다. 

여기에 공영운 현대자동차 사장, 이성근 대우조선해양 사장, 남준우 삼성중공업 대표, 유재권 삼천리 대표, 유수경 두산퓨얼셀 대표 등이 참여했다.

정부는 지난해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과 6개 분야별 세부 추진 계획을 세워 이를 이행해왔다.

로드맵에 따라 수소전기차와 수소충전소 확대 등 수소 수요를 늘리는 데 힘을 쏟았다면, 이제는 양질의 수소 공급을 늘려야 할 시점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수소전기차 등에 들어가는 연간 수송용 수소 수요량이 올해 4,000톤에서 2030년에는 37만 톤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 철강·화학 등 산업계에서 수소 사용이 늘면 수소 공급의 규모는 더 커질 수밖에 없다.

국내 수소는 석유화학 공정의 부산물로 나오는 부생수소와 천연가스에서 뽑아내는 추출수소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천연가스에서 수소를 추출하면 온실가스가 배출되는 문제가 있는 만큼,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만든 전력으로 물을 전기분해해 얻는 청정수소를 해외에서 조달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외국에서 생산한 수소를 국내로 들여오려면 액화수소 운반선, 인수기지, 항만 저장 탱크 등 막대한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

현재 일본은 호주(갈탄에서 수소 추출·액화 운송)와 브루나이(LNG에서 수소 추출‧액상유기수소운반체로 운송)에서 수소를 도입하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정부는 이번 협약을 통해 민관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정부 간 국제협력을 통해 사업의 위험성을 줄이는 역할을 할 예정이다. 또 민간기업은 향후 해외 청정수소 공급망을 직접 구축해 사업 추진 동력을 확보하게 된다.

정부는 청정수소를 공급할 해외 후보군에 대해 6개월간 전문 컨설팅과 타당성 분석을 진행한 뒤, 이를 토대로 4~5년간 실증 단계를 거쳐 민간 투자를 유도할 방침이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