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수소경제 분야는
수소전기차 ‘넥쏘’ 바람에 이어
정부의 다양한 로드맵과
후속방안들이 쏟아지는 역동적인 한해였다.
 
문재인 대통령이 선봉에 섰다.
정부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으로 포문을 연 이후
‘수소경제 표준화 전략 및 수소 기술개발 로드맵’, ‘미래차 산업 발전전략’,
‘수소 인프라 및 충전소 구축 방안’ 등을 잇달아 발표했다.

 

이에 발맞춰 전국 지자체들은 지역 특성에 맞는
수소산업 비전과 전략들을 속속 공개했다.

 
현대차는 승용차에 이어 상용차로
수소전기차 지평을 확대하며,
‘FCEV 비전 2030’을 통한
수소전기차 대중화를 위해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수소사업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집중했다.

 
세계 최초의 국회 수소충전소 준공과 함께
수소충전소 특수목적법인 ‘수소에너지네트워크’ 출범으로
수소충전인프라 구축이 활발해지고,
수소전기버스, 수소전기택시가 대중교통으로써
시민의 발이 되어주기 시작했다.

 

물류 지게차, 건설기계, 열차, 선박 등
다양한 수소 모빌리티 보급을 위한 움직임도 활발했다.

 
연료전지 발전소 건설 및 다양한 모델 개발 협약이 봇물을 이루고,
해외 기업과의 합작투자계약 체결 등 연료전지 시장도 후끈 달아올랐다. 
반면 지역주민의 반대로 연료전지 발전소 건설이 난항을 겪기도 했다.

 
수소산업 확장을 위한 기업들의 움직임도 빨라졌다.
국내 최초 상용 수소추출기가 출시되고,
미코·코멤텍·알티엑스·오덱 등
수소연료전지 관련 기업들이
공장을 준공하며 양산체제를 구축했다. 
 


강릉 수소탱크 폭발사고와
노르웨이 수소충전소 화재사고로 인해
수소 안전관리에 대한 경각심을 일으키는 한편
수소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대국민 인식 제고 활동이 시작됐다.

 


액화수소플랜트, P2G, 해양 바이오수소 등의
미래 신기술 실증사업을 본격화하는 한편
글로벌 수소 협력체제도 강화해 나갔다.
 
이렇게 숨 가쁘게 달려왔던 2019년 ‘수소경제’.
2020년 새해부터는 긴 호흡으로 수소경제 체계를   
내실 있게 만들어나가며 수소경제 사회를 맞이해야 할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